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3D 프린터에서 사용하는 대중적 소재와 특징, 장단점

by soeasymoney 님의 블로그 2025. 3. 29.

3D 프린트의 소재인 필라멘트 사진

3D 프린터의 성능과 출력물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사용하는 소재입니다. 3D 프린터에서 사용되는 소재는 출력 방식, 출력 목적, 내구성, 유연성, 내열성 등에 따라 선택이 달라지며, 각각의 소재는 고유한 특성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소재로는 PLA(폴리락트산), ABS(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타이렌), PETG(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 변형),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나일론(Nylon) 등이 있으며, 각 소재는 특정 용도에 적합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3D 프린터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소재들을 소개하고, 그 특징과 장단점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3D 프린터에서 사용하는 대중적 소재 

3D 프린터에서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되지만, 그중에서도 PLA, ABS, PETG, TPU, 나일론이 가장 널리 활용됩니다. 각 소재는 출력 난이도, 강도, 내열성, 유연성, 내구성 등의 차이점이 있어 목적에 맞는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PLA(Polylactic Acid) - 친환경적이고 출력이 쉬운 소재

PLA는 옥수수 전분, 사탕수수 등에서 추출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3D 프린팅 소재입니다. 출력이 쉽고 냄새가 거의 없으며, 환경 친화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 강도와 내열성이 뛰어난 소재

ABS는 강도와 내열성이 뛰어난 플라스틱으로, 자동차 부품, 전자 제품, 장난감(레고 블록)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내구성이 뛰어나고 충격에 강하지만, 출력 시 냄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 강도와 유연성이 조화된 소재

PETG는 PET(페트병 소재)에 글리콜을 첨가해 개선한 소재로, PLA보다 강하고 ABS보다 출력이 쉬운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내구성이 우수하며, 수분과 화학물질에도 강해 실외 사용이 가능합니다.

4)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 유연하고 탄성이 뛰어난 소재

TPU는 고무처럼 유연한 특성을 가진 플라스틱으로, 탄성이 뛰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신발 밑창, 스마트폰 케이스, 패킹 등에 사용되며, 높은 유연성이 요구되는 부품 제작에 적합합니다.

5) 나일론(Nylon) - 내구성과 마찰 저항성이 뛰어난 소재

나일론은 강도가 높고 마찰 저항성이 뛰어난 소재로, 산업용 부품이나 내구성이 필요한 출력물 제작에 활용됩니다. 내구성이 우수하지만, 수분을 흡수하기 쉬워 보관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3D 프린터 소재별 특징

1) PLA (Polylactic Acid) - 친환경적이고 출력이 쉬운 소재

PLA는 옥수수 전분이나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친환경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3D 프린터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소재 중 하나입니다. 출력이 쉬우며, 독성이 없고 냄새가 거의 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많은 사용자들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 주요 특징

  • 출력 온도: 190~220℃
  • 강도: 중간
  • 유연성: 낮음
  • 내열성: 낮음 (~60℃)
  • 출력 난이도: 쉬움

2)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 내구성이 뛰어난 강한 소재

ABS는 강도와 내열성이 뛰어나 자동차 부품, 전자기기 케이스, 기계 부품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내구성이 높고 유연성이 적당하지만, 출력 시 수축이 심해 히팅 베드와 밀폐형 프린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주요 특징

  • 출력 온도: 230~250℃
  • 강도: 높음
  • 유연성: 중간
  • 내열성: 높음 (~100℃)
  • 출력 난이도: 어려움

3) PETG (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 강도와 유연성이 균형 잡힌 소재

PETG는 PLA의 출력 용이성과 ABS의 내구성을 결합한 소재로, 강도와 유연성이 뛰어나며, 식품 용기, 의료 기구, 보호 장비 제작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 주요 특징

  • 출력 온도: 220~250℃
  • 강도: 높음
  • 유연성: 중간~높음
  • 내열성: 중간 (~80℃)
  • 출력 난이도: 쉬움~중간

4) 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 유연성이 뛰어난 소재

TPU는 고무와 비슷한 특성을 가진 탄성 소재로, 충격을 흡수해야 하는 부품, 보호 케이스, 신발 밑창 등에 사용됩니다.

✔ 주요 특징

  • 출력 온도: 220~250℃
  • 강도: 중간
  • 유연성: 매우 높음
  • 내열성: 중간 (~80℃)
  • 출력 난이도: 어려움

5) 나일론 (Nylon) -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소재

나일론은 내구성이 뛰어나고 마찰에 강한 소재로, 기계 부품, 베어링, 기어 등에 사용됩니다.

✔ 주요 특징

  • 출력 온도: 240~270℃
  • 강도: 매우 높음
  • 유연성: 높음
  • 내열성: 높음 (~120℃)
  • 출력 난이도: 어려움

아래 표는 소재별 특징을 정리한 표입니다.

소재 출력 온도 강도 유연성 내열성 내습성 출력 난이도 주요 용도
PLA 180~220℃ 중간 낮음 낮음 (~50℃) 좋음 쉬움 교육용 모델, 장식품, 프로토타입
ABS 220~250℃ 높음 중간 높음 (~100℃) 보통 어려움 자동차 부품, 전자기기 케이스, 장난감
PETG 230~250℃ 높음 중간 중간 (~75℃) 우수 중간 식품 용기, 의료 기기, 기계 부품
TPU 210~250℃ 중간 매우 높음 낮음 (~60℃) 우수 어려움 스마트폰 케이스, 신발 밑창, 방진 커버
나일론 240~260℃ 매우 높음 중간 높음 (~100℃) 취약 어려움 기어, 베어링, 산업용 부품
카본 필라멘트 220~270℃ 매우 높음 낮음 높음 (~100℃) 보통 어려움 드론 프레임, 자동차 및 항공우주 부품
금속 필라멘트 190~220℃ 매우 높음 낮음 높음 (~100℃) 보통 어려움 장식품, 미니어처, 맞춤형 부품
목재 필라멘트 190~220℃ 중간 중간 낮음 (~60℃) 보통 중간 장식품, 예술 작품, 맞춤형 가구 부품
PC (Polycarbonate) 250~300℃ 매우 높음 중간 매우 높음 (~140℃) 우수 어려움 보호 헬멧, 방탄 유리, 기계 부품
PVA 180~220℃ 낮음 낮음 낮음 (~50℃) 매우 취약 (물에 용해) 중간 수용성 서포트 구조

 

 

3D 프린터 소재별 장점과 단점

1) PLA (Polylactic Acid) - 친환경적이고 출력이 쉬운 소재

✔ 장점

  • 출력이 쉬워 초보자에게 적합
  • 친환경적이며 생분해 가능
  • 다양한 색상과 후처리가 용이함

❌ 단점

  • 내열성이 낮아 고온 환경에서 변형될 수 있음
  • 충격에 약하고 내구성이 부족함
  • 습기에 취약하여 장기간 보관 시 성능 저하 가능

2)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 내구성이 뛰어난 강한 소재

✔ 장점

  • 높은 강도와 내구성
  • 내열성이 높아 고온 환경에서도 변형 없음
  • 후처리를 통해 매끄러운 표면 구현 가능 (아세톤 증기 처리)

❌ 단점

  • 출력 시 유해한 냄새가 발생
  • 수축이 심해 출력 환경 관리가 필요
  • 히팅 베드가 반드시 필요함

3) PETG (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 강도와 유연성이 균형 잡힌 소재

✔ 장점

  • 높은 강도와 적당한 유연성
  • 습기에 강하고 투명 출력 가능
  • 내열성과 내화학성이 뛰어나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

❌ 단점

  • 노즐 막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 출력 중 실 모양의 잔여물이 남을 수 있음

4) 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 유연성이 뛰어난 소재

✔ 장점

  • 유연성과 탄성이 뛰어나 다양한 용도에 활용 가능
  • 충격 흡수가 가능해 보호 장비 제작에 적합
  • 내화학성이 뛰어나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 가능

❌ 단점

  • 출력 속도가 느리고 세팅이 어려움
  • 노즐 막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 정확한 치수로 출력하기 어려움

5) 나일론 (Nylon) -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소재

✔ 장점

  • 높은 내구성과 강도
  • 마찰과 충격에 강함
  • 내열성이 뛰어나 다양한 산업용 부품에 활용 가능

❌ 단점

  • 출력 시 습기에 매우 민감해 보관이 어려움
  • 출력이 어려우며 히팅 베드가 필요함
  • 필라멘트 비용이 비싼 편
소재 장점 단점
PLA 출력이 쉬움, 친환경적, 냄새가 거의 없음 내열성이 낮음, 충격에 약함
ABS 강도와 내열성이 뛰어남, 후처리가 쉬움 출력 중 유해한 냄새 발생, 수축이 심함
PETG 강도와 유연성이 뛰어남, 내습성이 우수함 출력 시 실 모양의 잔여물이 남을 수 있음
TPU 매우 유연하고 탄성이 뛰어남 출력 속도가 느림, 노즐 막힘 가능성 있음
나일론 내구성이 뛰어나고 마찰에 강함 습기에 취약하여 보관이 어려움

 

위의 표는 소재별 장점과 단점을 보기 쉽게 정리한 표입니다.